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4

2025년 AI 디지털교과서 결과 발표와 도입 로드맵 조정안 발표 - 기대와 우려 사이에서

교육부가 오늘(11월 29일) 2025년부터 도입될 AI 디지털교과서 검정심사 결과와 도입 로드맵 조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우리 교육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는 중요한 이정표이자, 동시에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1774&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data-og-description="2025년, 교실에서 마주할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을 실현- 2024년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검정..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미래교육과 에듀테크 2024. 11. 29.

디지털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디지털 교육 규범'의 의미와 가치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 7월에 교육부가 발표한 '디지털 교육 규범' 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들어가며: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교육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선생님, ChatGPT로 숙제하면 안 되나요?""수업 때 태블릿으로 게임만 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AI를 활용한 수업,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최근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듣는 고민들입니다. 지난 15년간 교직에 몸담으며 수많은 변화를 겪었지만, 요즘처럼 혼란스러운 때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코로나19를 겪으며 우리는 온라인 수업이라는 전대미문의 경험을 했고,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의 등장은 교육계에 던진 충격파는 아직도 진행 중입니다.교실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일상이 되었고, 메타버스니 VR이니 하..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미래교육과 에듀테크 2024. 11. 9.

제1회 충북교육박람회 후기

2024년 10월 28-29일에, 충북교육박람회가 청주대 석우문화체육관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습니다 . 교사로 근무하다가 교육전문직으로 자리를 옮긴 후 대규모로 열리는 행사에 참가하는터라, 이번 박람회는 제게도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첫째로, 충북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각 부서와 기관에서 준비한 부스들은 우리 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정책과 사업들을 입체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평소 문서로만 접하던 내용들이 생생하게 구현되어 있어, 장학사로서도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특히 둘째 날 오후에 제가 담당했던 부스에서는 뜻깊은 만남들이 있었습니다. 현장에서 열심히 근무하시는 선생님들, 관심 있게 찾아와 주신 학부모님들과 직접 소통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죠. 준비했던..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4. 10. 30.

블로그를 굳이 해야 할까? 바쁜 나에게 필요한 동기부여

요즘 들어 한 가지 고민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게 과연 필요한가? 바쁘게 돌아가는 업무 속에서 굳이 시간을 내어 글을 써야 할까 하는 의문이 든다. 하지만 동시에, 뭔가 해야겠다는 생각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 갈등 속에서 왜 블로그를 해야 할지, 나 스스로에게 동기부여가 필요한 시점이다. 1. 전문성, 기록하고 공유하라!교육전문직의 업무는 매우 폭넓고 전문적이다. 매일같이 새로운 정보를 접하고,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정책과 기술을 습득하지만, 그 모든 것을 어디에 기록하고 공유할까? 블로그는 이런 고민을 해결해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나만의 아카이브로 활용하면서, 동시에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내가 겪는 고민, 내가 발견한 해결책, 현장에서 마주..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4.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