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빠르크의 영화감상기25

'오징어게임' 3막 구조 분석

'오징어 게임' 3막 구조 분석 Analyzing 'Squid Game' with a 3-act structure 더보기 안녕하세요. 빠르크 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시청한 화제의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시나리오를 3막 구조로 분석하고자 합니다. 오징어 게임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작품을 모두 시청하신 후 이 글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징어 게임은 전체 9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편의 러닝타임을 약 1시간 정도 잡으면 전체 9시간 정도 되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기존 120분의 영화와 16부작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구조로 분석하기에는 조금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게 흐름을 3부분으로 나누어 본다면 다음과 같은 구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빠르크의 영화감상기 2021. 10. 19.

영화 '공작'의 관전 포인트

윤종빈 감독의 영화 '공작'을 보셨나요? Movie Review 안녕하세요. 빠르크 입니다. 여름방학 개학기념(!) 으로 영화 을 극장에서 보고 왔습니다. 실제 있었던 북한 공작원 이야기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영화입니다. 제가 본 시점 쯤에는 관객이 400만을 돌파했어요. 영화를 보게 된 계기는 영화를 본 지인들마다 평이 엇갈렸어요. 어떤 분은 '정말 좋았다' 고 자신의 인생영화 리스트에 넣고 싶다는 이야기를 하시는 분도 있었고 어떤 분은 '너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 차라리 다른 작품을 봐라' 하시는 분도 계셨어요. 사람마다 다른 이야기를 하니 호기심이 발동해서 과연 어떤 영화일까 하며 보게 된 것이 이 영화를 보게된 계기 입니다. 영화를 보고 나름의 관전 포인트를 생각해 두었는데 관람을 생각하고 계신 ..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빠르크의 영화감상기 2018. 8. 21.

영화 '타인의 삶(2006)'을 보고

영화 '타인의 삶(2006)'을 보고 Watch the moive 'The Lives Of Others(2006)' (Das Leben Der Anderen) 예전 무한도전에서 이 영화와 같은 제목으로 특집편을 했던 기억이 났다. 그리고 여러 영화제에서 상을 휩쓴 작품이기에 기대감이 컸다. 과연 어떤 영화일까? 이 영화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은 1984년 동독이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5년 전이다. 동독 정부의 예술인들을 향한 감청이 대대적으로 비밀리에 이뤄지는 그 시대를 배경으로 감청원이자 비밀경찰인 게르트 비즐러가 예술가 드라이만을 감청하면서 겪게되는 변화와 자아 찾기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1막에서 주요 캐릭터들의 성격을 나타낸다. 감청을 하게 되는 비밀경찰 게르트 비즐러는 경찰대학에서 교수를 ..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빠르크의 영화감상기 2018. 7. 6.

영화 도쿄택시(2010)를 보고

영화 도쿄택시를 보고 Watch the movie "Tokyo Taxi(2010)" 영화 도쿄택시는 한 줄로 요약하면 도쿄에서 서울로 택시를 타고 가면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를 그린 로드 무비이다. 비행기도 아닌 택시를 타고 도쿄에서 서울로 간다는 소재 자체가 독특하고 캐릭터의 성격도 재미있다. 사건의 발생은 이러하다. 도쿄타워 근처에서 라멘 가게를 운영하는 야마자키 료는 언더그라운드 밴드의 보컬을 맡고 있다. 서울에서 인디 락 밴드 페스티벌이 열리게 된 소식을 접한 밴드는 참가를 결심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팀의 보컬인 야마자키 료가 비행기를 못타는 것이다. (어떤 사정인지는 잘 모르지만) 결국은 택시를 타고 서울로 가기로 하는데 아무래도 쉽지는 않다. 그러다 야마다의 택시를 만나게 되고 승객을 우선시 하는..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빠르크의 영화감상기 2018. 7. 6.

영화 봄날은간다 명장면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 그리고 윤종신의 좋니

영화 봄날은 간다 X 윤종신 좋니 명장면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와 정말 잘 어울리는 배경음악 2001년 개봉해서 지금까지도 사랑과 이별에 관한 여운을 주는 영화 '봄날은 간다' 입니다. 상우(유지태)와 은수(이영애)의 연기와 허진호 감독의 연출은 명작을 만들었죠. 세월이 흐른 지금도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 대사는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오래 남는 명대사가 되었습니다. 마침 90년대의 감성을 자극하며 차트 역주행에 성공한 윤종신의 '좋니'는 이런 아련한 감성을 다시 떠오르게 합니다. 상우와 은수의 이별씬에 윤좋신의 '좋니'를 배경음악으로 넣었습니다.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빠르크의 영화감상기 2017.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