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08

로지텍 무소음 키보드 MK295 후기

로지텍 무소음 키보드 MK295 후기 사무실이나 교실에서 사용하기 좋은 무소음 키보드로 로지텍의 MK295 키보드가 있습니다. 로지텍의 'Silent Touch' 기술이 적용되어서 키를 눌렀을 때 조용하게 입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선마우스와 콤보로 출시되어서 키보드와 무선마우스를 함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무선마우스는 M220 제품으로 배터리 1개로 최장 18개월 사용할 수 있는 궁극의 효율성이 큰 장점인 제품입니다. 무선마우스의 배터리는 AA건전지 1개만 들어갑니다. 이 건전지 1개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게다가 마우스 버튼을 클릭했을 때 역시 무소음 기술이 적용되어 조용하게 마우스를 클릭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은 MK295 키보드를 실제 터치했을 때 소리를 녹화해본.. 슬기로운 생활 리뷰/IT테크리뷰 2023. 9. 10.

세종의 흔적을 재현한 청주 초정행궁 후기

세종의 흔적을 재현한 청주 초정행궁 후기 초정행궁은 조선 세종대왕이 눈병 등의 질병 치료를 위해 잠시 머물렀던 행궁입니다. 세종대왕 26년인 1444년 1월에 건립되어서 세종이 2차례 정도 행차하며 머물렀던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의 초정행궁은 그 때 세종이 지은것인가? 일단 아닙니다. 처음에 지은 행궁은 건립된지 4년 만에 방화(!)로 모두 소실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오랫동안 터만 남아 있다가 청주시가 과 기록을 바탕으로 '복원' 작업을 시도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옛 유구들이 전혀 발굴되지 않아서 '복원'이 아닌 '재현' 사업으로 추진되었습니다. 그 결과물이 2020년에 완공이 되었고 지금 초정행궁에서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입구 쪽 마당에는 세종대왕 당시에 개발된 과학 도구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슬기로운 생활 리뷰/여행기록 2023. 9. 10.

4세대 나이스(NEIS) 기초시간표 입력 방법

4세대 나이스(NEIS) 기초시간표 입력 방법 가이드4세대 나이스(NEIS) 시스템에서 기초시간표를 입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기초시간표가 입력되어야만 보결 처리나 학생들의 출결 등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만약 기초시간표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라면, 학생들이 결석하거나 조퇴할 경우 사유 등록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초시간표 입력이 필수적입니다. 기초시간표 입력의 중요성기초시간표가 입력되지 않으면 출결 관리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이 결석하거나 조퇴했을 때, 기초시간표가 설정되지 않으면 출결 사유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학급 담임 선생님들께서는 반드시 기초시간표 입력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직접 입력해..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초등 연구부장 2023. 8. 29.

프리미어프로 비네팅 효과 연출하기

프리미어프로 비네팅 효과 연출하기 비네팅 효과 연출 들어가기 영상 편집 시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효과를 간단하게 연출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 영상에 깊이와 드라마틱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비네팅 효과가 있습니다. 비네팅은 가장자리를 어둡게 하여 보는 사람의 주의를 프레임 중앙으로 이끄느는 고전적인 사진 및 영화 기법입니다. 어도비 프리미어프로에서 비네팅 효과를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비네팅 효과 적용 순서 1. 상단 메뉴 [창] (영문판에서는 window)를 누르신 후 'Lumetri 색상'을 클릭하여 패널을 활성화 합니다. 2. Lumetri 색상 패널에서 [비네팅] 탭을 클릭하기 상단 오른쪽에 Lumetri 색상 패널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루메트리 색상 패널은 '기본 교정'..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프리미어프로 팁 모음 2023. 8. 29.

국립익산박물관 옆 미륵사지 석탑

국립익산박물관 옆 미륵사지 석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그리고 가장 큰 석탑은 익산에 위치한 미륵사지 석탑입니다. 미륵사지 석탑은 국보 제1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미륵사지 석탑은 서동설화로 유명한 백제 무왕 시절에 지은 석탑으로 한국 석탑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시절 시멘트 복원으로 아픔을 겪었던 미륵사지 석탑은 오랜 복원의 시간을 거쳐 세상으로 나왔습니다. 미륵사지 석탑은 현재 동탑과 서탑이 나란히 있습니다. 미륵사지 석탑을 이야기할 때 흔히 생각하는 서탑은 한국 문화재 복원의 가장 공을 많이 들인 복원 사례로 꼽는 반면 미륵사지 동탑은 최악의 문화재 복원 사례로 꼽기도 합니다. 평가가 극과 극을 달립니다. 익산에 남아있는 백제 후기 문화의 꽃은 단연 미륵사입니다. 백제 무왕 때 건.. 슬기로운 생활 리뷰/여행기록 2023.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