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교회계4

산출근거 기초 순서 feat. 원명회

산출근거를 쓸 때는 산출식 쓰는 순서가 있습니다.저는 '원명회'로 외우긴 했는데,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단가) 원 X 물량(명, 개 등) X 회수 (월, 일, 회, 식 등)예) 20,000원*20명*2회 = 1,600,000원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5. 3. 23.

연구학교, 선도학교 사업비 교부와 재배정

사업비 교부와 재배정의 차이점교부와 재배정을 혼용해서 쓰기도 하는데 사실 다른 개념입니다.교육청의 회계는 보통 교육비 특별회계라고 하고, 학교 회계는 학교회계라고 합니다. 서로 다른 시스템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 돈이 오고 가고 하는데, 보통 교육(지원)청에서 학교로 돈을 넘길 때는 '교부' 라고 합니다. 이와는 달리 같은 교육청에서 교육청으로 돈이 넘어갈 때, 예를 들면 본청에서 A과에서 B과로 혹은 본청에서 교육지원청이나 직속기관으로 돈을 넘길 때는 '재배정'이라고 합니다. 본청을 기준으로 교부와 재배정 예시 제가 본청에서 근무를 하다 보니 학교에 바로 돈을 '교부'할 수 있는 학교급이 정해져 있습니다. 고등학교와 특수학교는 제가 바로 돈을 '교부'할 수가 있어요. 하지만 ..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5. 3. 20.

혼동하기 쉬운 예산 비목: 비품구입비 vs 교육운영비, 일반수용비

학교나 교육청에서 물품을 구매할 때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예산 과목 선택입니다. 특히 비품구입비와 교육운영비/일반수용비는 구분이 모호해서 실제 사업을 추진하는 담당자가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오늘은 이 두 과목의 명확한 구분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구분의 핵심 포인트: 자산성 vs 소모성가장 중요한 구분 기준은 해당 물품이 '자산성' 인지 '소모성' 인지 입니다. 각 소속된 시도교육청에서는 조례를 통해 비품과 소모품의 차이를 명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충청북도교육청의 경우는 '충청북도교육비특별회계 소관 물품관리 조례' 별표 1 물품의 품종·상태 구분에서 비품과 소모품의 차이점을 명시하였습니다. 구분분류기준비소모품1. 품질 현상이 변하지 않고 비교적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물품 - 내..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4. 11. 21.

교사가 꼭 알아야 할 학교회계 예산 용어 :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학교회계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 학교에서 일하다 보면 “나는 수업만 잘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걸 금방 알게 됩니다. 세상 돌아가는 게 다 그렇듯, 뭔가를 하려면 돈이 필요하고, 그 돈을 어떻게 계획성 있게 쓸 건지 설득하는 작업도 중요하거든요. 이 돈이 바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예산입니다. 처음 교직에 들어서서 예산 이야기를 들으면, 아마 머릿속이 하얗게 될 거예요. 저도 그랬으니까요. 학교에서 예산을 어떻게 세우고 사용하는지 따로 배운 적이 없다 보니, 처음에는 행정실에서 퇴짜 맞기 일쑤였어요. 다행히 좋은 주무관님을 만나면 친절히 알려주시지만, 대부분 바쁘셔서 친절한 설명을 기대하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포기할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저도 시행착..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초등 연구부장 2024.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