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127

'AI 디지털교과서'의 실체를 마주하다

오늘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컨퍼런스에서 AI 디지털교과서의 실제 모습을 처음 접하면서, 그동안 우리가 가지고 있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개념이 얼마나 제한적이었는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기존 관념의 한계그동안 우리는 'AI 디지털교과서'를 상상할 때, 자연스럽게 기존 서책형 교과서의 연장선에서 생각해왔습니다. 단순히 종이 교과서가 디지털화되고, 거기에 AI 기능이 약간 추가된 형태 정도로 말이죠. 이는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실체를 보기 전까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범위는 기존의 경험에 기반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교과서' 라는 단어는 전통적으로 우리가 학교에서 학습을 할 때 없어서는 안될, 아주 친숙한, 각자의 경험이 투영된 학습 내용이 체계적으로 담긴 인쇄물입니다. 2010년대에 등장..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미래교육과 에듀테크 2024. 12. 5.

선도학교 운영비 예산 편성, 헷갈리지 않게 사례로 이해하기

선도학교 예산 편성표를 보면 운영비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일반수용비, 교육운영비, 운영수당. 각 항목은 목적과 사용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하여 편성해야 합니다. 예산표를 기준으로 항목별 세부 내용과 사례를 종합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1. 일반수용비학교 운영과 홍보를 위한 기본 경비일반수용비는 학교의 기본적인 행정업무와 학생 활동 지원을 위한 경비입니다. 홍보와 사무용품, 각종 수수료 등이 포함됩니다. 세부 내용 및 사례홍보 및 행사 준비:현수막, 간판, 홍보물 제작비를 포함합니다.예: 학교 입구에 선도학교 현수막을 설치하고, 학부모 안내 전단지를 제작.사무 용품 구입:프린터 잉크, 복사용지, 파일 정리함 등.예: 선도학교 관련 문서를 보관할 서류함 구입.학생 활동 지원:대회 출전비, 학교..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4. 12. 3.

2025년 AI 디지털교과서 결과 발표와 도입 로드맵 조정안 발표 - 기대와 우려 사이에서

교육부가 오늘(11월 29일) 2025년부터 도입될 AI 디지털교과서 검정심사 결과와 도입 로드맵 조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우리 교육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는 중요한 이정표이자, 동시에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1774&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data-og-description="2025년, 교실에서 마주할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을 실현- 2024년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검정..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미래교육과 에듀테크 2024. 11. 29.

공무원 병가 제대로 알고 쓰기: 규정과 실무 사례 위주로

들어가며: 누구나 한 번쯤 사용하는 병가공무원으로 근무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병가를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막상 병가를 써야 할 때가 되면 여러 가지 걱정이 앞섭니다. '진단서는 꼭 필요할까?', '휴일도 병가 일수에 포함되나?' 등 궁금증이 생기죠. 특히 복무감사에서 병가 사용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 더욱 신중해질 수밖에 없습니다.알아야 할 기본 규정교육공무원의 경우 교원휴가에 관한 예규[교육부예규 제83호, 2023. 12. 11. 일부개정] 와 국가공무원 복무·징계 관련 예규[인사혁신처 예규 제166호, 2023. 10. 25. 일부개정]를 근거로 합니다. 병가는 크게 일반병가와 공무상 병가로 나뉩니다. 일반병가는 개인적인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경우에 사용하며, 연간 60일까지 사..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4. 11. 28.

교육행정기관 업무추진비 사용 범위 9가지로 핵심 요약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교육행정기관의 업무추진비 사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시는 분들께서 꼭 알아두셔야 할 내용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업무추진비란 무엇인가?업무추진비는 교육행정기관이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를 수행하면서 기관이나 직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말합니다. 단순한 예산 집행이 아닌, 교육행정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죠. 이러한 업무추진비의 사용은 규정에 근거하여 잘 사용해야 합니다. 지방교육행정기관 업무추진비 집행에 관한 규칙 (교육부령 제152호, 2018. 3. 19., 공포 시행)에 근거하여 대표적인 사용 범위 9가지로 요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학술・문화예술・체육활동 지원2.1 체육대회 참가 선수 ..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4.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