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127 공무원은 문서로 말한다 오늘은 잊을 수 없는 그런 날이 될 것 같습니다. 2개월 동안 추진하던 업무가 계속 막혀있다가 마침내 풀리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실무진 차원에서 묵묵히 작업하며 꾸준히 소통했지만, 속도가 나지 않고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결정권자들이 함께 논의하는 협의회를 통해 교통정리가 되고 해결의 실마리가 보였습니다.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며, 때로는 전문성을 믿고 맡겨야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보이지는 않지만 지켜야 할 선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전문직이 된 지도 이제 2개월 반쯤 되어갑니다. 처음 시작부터 매우 큰 예산과 과중한 업무에 매일 야근하며 추진하고자 했지만, 도대체 그 시간 동안 무엇을 했는냐는 질책을 들었고, 심지어 직무유기라는 말까지 들었습니다. 그 말을 듣고 나서 이런 생각..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이야기 2024. 11. 15. 더보기 ›› 디지털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디지털 교육 규범'의 의미와 가치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 7월에 교육부가 발표한 '디지털 교육 규범' 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들어가며: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교육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선생님, ChatGPT로 숙제하면 안 되나요?""수업 때 태블릿으로 게임만 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AI를 활용한 수업,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최근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듣는 고민들입니다. 지난 15년간 교직에 몸담으며 수많은 변화를 겪었지만, 요즘처럼 혼란스러운 때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코로나19를 겪으며 우리는 온라인 수업이라는 전대미문의 경험을 했고,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의 등장은 교육계에 던진 충격파는 아직도 진행 중입니다.교실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일상이 되었고, 메타버스니 VR이니 하..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미래교육과 에듀테크 2024. 11. 9. 더보기 ›› 교육 현장에서 AI, 어떻게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을까? 교육부가 발표한 교육 분야 인공지능 윤리원칙 10가지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인공지능(AI)은 이제 교육 현장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개인 맞춤형 학습, 학습 격차 해소, 교육 서비스 개선 등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AI가 우리 교육에 미칠 부정적 영향과 윤리적 문제도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부는 2022년에 교육 분야 인공지능 윤리원칙을 발표했습니다.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92297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data-og-description="제목 : 인공지능..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미래교육과 에듀테크 2024. 11. 8. 더보기 ›› UI 디자이너 필수 툴 비교 : 피그마, Adobe XD, 스케치, 프로토파이, 프레이머 UI 디자인은 날로 발전하는 기술과 트렌드에 발맞춰 다양한 툴과 솔루션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각각의 툴은 고유한 장점과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디자이너의 작업 스타일이나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적합한 툴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UI 디자이너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툴 5가지를 비교해보겠습니다: 피그마(Figma), Adobe XD, 스케치(Sketch), 프로토파이(ProtoPie), 프레이머(Framer) 1. 피그마 (Figma)https://www.figma.com/ko-kr/ Figma: 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도구Figma는 의미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최고의 협업 디자인 도구입니다. 하나의 플랫폼에서 원활하게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개발하며 피..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미래교육과 에듀테크 2024. 11. 6. 더보기 ›› [공문맞춤법] 올바른 쌍점(:) 사용법 안녕하세요. 오늘 준비한 공문 맞춤법은 공문 작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면서도 틀리기 쉬운 문장부호인 '쌍점 (:)' 의 올바른 사용 방법입니다. 1. 쌍점 (:) 이란? 쌍점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문장부호 중 하나입니다. 국립국어원의 에 따르면, 쌍점은 앞의 말을 받아 설명하거나 나열할 때 사용하는 문장부호입니다. https://korean.go.kr/kornorms/m/m_regltn.do#a 한국어 어문 규범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본문 제1장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 이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korean.go.kr 2. 쌍점의 기본 사용 규칙2-1 기본 원칙쌍점은 앞말에 붙여 쓰..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공문맞춤법 2024. 11. 5. 더보기 ›› 이전 1 2 3 4 5 6 7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