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111

뤼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이 최초의 영화이면서 영화가 아닌 이유

뤼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이 최초의 영화이면서 영화가 아닌 이유 영화의 역사를 살펴보면 영화가 무엇인지 영화는 무엇을 지향하는지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영화를 좀 더 깊게 공부하고자 한다면 영화의 역사를 언급하게 되는데 그럴 때 자연스럽게 관문처럼 만나는 영화가 바로 뤼미에르 형제가 만든 입니다. https://youtu.be/1FAj9fJQRZA 사실 영화를 만들었다기 보다는 영화를 '기록한' 것에 더 가깝습니다. 기차 역으로 기차가 들어오는 장면이 담긴 이 영화는 숏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1895년 12월 8일, 뤼미에르 형제가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1프랑의 관람료를 받고 보여준 영화들 중 하나가 바로 입니다. 관객들에게 돈을 받고 영화를 보여주었기에 최초의 상업 영화라는 타이..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 2022. 11. 29.

영화 편집의 좋은 모범 사례 - 영화 덩케르크 오프닝씬

영화 편집의 좋은 모범 사례 - 영화 덩케르크 오프닝씬 https://youtu.be/c7DHbaY54YQ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각본과 감독을 맡은 2017년 개봉작 의 오프닝씬은 상당히 인상 깊었습니다. 오프닝은 영화의 시간과 공간을 나타내면서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압축하여 보여주는 상징성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사건이 벌어질 지 암시하는 역할도 있습니다. 덩케르크가 실제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오프닝을 통해 덩케르크의 공간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그리고 영화 전체적인 긴장감을 부여하면서 관객들을 영화 속 세계로 단숨에 몰입하게 해야 할텐데요. 덩케르크는 딱 4개의 숏으로 처리를 합니다. 가장 인상깊었던 숏의 배열이기도 했어요. 첫 번째 숏은 주인공이 시가전에 혼란을 피해 어디론가..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 2022. 11. 29.

카메라 화소가 높다고 화질이 좋은건 아니다

화소가 높다고 화질이 좋은건 아니다 안녕하세요 빠르크 입니다. 오늘은 영상 이론 중 카메라의 화소를 한 번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화소는 영어로 'Pixel' 입니다. 픽셀(Pixel)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최소단위 입니다. 디지털 이미지를 계속 확대해보면 작은 최소한의 점에 색상 정보가 담겨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화소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정밀하고 상세한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영상 역시 이 화소(Pixel)들이 모여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1080p 사이즈로 알려진 Full-HD (풀HD) 영상은 1920*1080의 화소를 가진 영상을 말합니다. 가로에는 1920개의 픽셀과 세로에 1080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영상이라는 뜻입니다. 1920*1080=2,073,600 픽셀로 200만 화소를 뜻합..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카메라 촬영 이론 2022. 11. 28.

악뮤 이찬혁 솔로 앨범 'Error' 전곡 가사

악뮤 이찬혁 솔로 앨범 'Error' 전곡 가사 악뮤 이찬혁의 첫 솔로 앨범 'Error'에 수록된 전곡 가사 입니다. 11개 트랙이 모두 하나의 이야기로 이어지는 구성이라 앨범으로 감상하면 아티스트가 전하고자 하는 느낌을 더 잘 들을 수 있습니다. 이찬혁의 창법이 워낙 꾸밈없이 담백해서 이번 솔로를 통해 더욱 그 빛을 보는듯 합니다. 다만 곡의 특성상 어떤 부분은 기계음으로 변조한 소리들이 있어 가사를 제대로 듣기가 어려운 부분도 있어 가사를 검색하여 정리해봤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pFbldYKays 01 목격담 (Eyewitness account) 빛이 확 하는데 펑 하더니 superman이 되었어요 커다란 소리가 나더니 막 웅성웅성했어요 처음에는 아무도 ..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참고작품 Reference 2022. 10. 19.

영화 드라이브 마이카 마지막 장면에 대한 생각

영화 드라이브 마이카 마지막 장면에 대한 생각 드라이브 마이 카의 마지막 장면을 보고 처음 든 느낌은 당혹스럽다 였습니다. 영화의 전체적인 러닝타임이 약 3시간 정도 였는데 기존 3시간의 느낌과 마지막 장면의 느낌은 괴리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아마 저처럼 드라이브 마이카의 마지막 장면에 대한 궁금증과 여러 해석들을 찾아보고자 인터넷에서 글들을 검색해보신 분들이 많을거란 생각이 드는데요. 드라이브 마이카의 마지막 장면에 대한 저의 해석을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이야기의 공간이 바뀌었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공간은 일본 히로시마 입니다. 물론 극의 전개상 중요한 장소인 훗카이도 지방도 다녀오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일본이란 공간에서 이야기가 펼쳐지죠. 영화 속 주요 소품인 자동차 역시 일본의 자동차 등록번호판.. 영상 제작과 편집을 위한 기초 지식/빠르크의 영화감상기 2022. 8. 4.